이직

경력기술서 예시를 통해 어떻게 써야 할지 알아보자

타로아저씨 2022. 10. 27. 17:57

안녕하세요, 타로아저씨 입니다. 

 

오늘은 경력기술서 예시를 통해 어떻게 써야 경력기술서를    있는지, 그리고 신입, 경력 상황별 경력기술서 예시를 통해 어떤 점을 강조해야 할지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신입의 경우 이런 부분을 강조해서 쓰면 좋을  같은데요. 

 

이력서에 교육 훈련, 자원봉사 경험 또는 수료한 인턴십을 강조하여 관련 업무 경험을 어필할 수 있습니다. 경력기술서 소제목 예시로 아래와 같이 작성하시면 좋을  같습니다. 

 

학력 

교육  인증 

자원 봉사: 직업 분야와 관련된 모든 봉사 활동. 

인턴십: 경력 교육, 교육 프로그램 또는 인증 과정 작업의 일환으로 수료 경우, 인턴십 또는 무급 인턴십. 

교육 훈련: 주요 기술 또는 경력 개발 성취 

학부생 경험: 학부 과정  기타 관련 업적 

 

두번째로 직업  또는 다른 산업  전환  지원하는 포지션에 적용할  있는 업무 경험을 강조해 보십시오. 이전 직장에서 얻은 성과, 승진 같은 사항을 반드시 포함시켜주시기 바랍니다. 

 

예를 들어 고객서비스 대표직을 지원하는 경우, 제조회사에서 근무했더라도 고객서비스와 관련될  있는 구체적인 업적이 있다면 경력 섹션에 포함시킬  있습니다. 

 

또한 이 섹션을 학력 바로 위 및 프로페셔널 프로필 요약 아래에 놓으십시오. 아래 경력기술서 예시 특히 소제목 부분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작업내역 

근무경력 

고용이력 

전문적 배경 : 업무 경험을 포함함에 따라 가장 최근 또는 현재 위치부터 시작하여 과거 날짜를 오름차순으로 나열합니다. 다음 목록에는 다년간의 경험을 포함하여 고려할 수 있는 기술, 업적 또는 결과가 포함되어야 합니다. 

 

전문 업적: 직무 설명과 관련된 업무 성과에는 회사가 새로운 프로젝트 관리 방법을 개발  구현하거나 새로운 고객을 성공적으로 획득하도록 도운 방법이 포함될  있습니다. 

 

관련 기술: 유사한 기술, 소프트웨어, 장비 사용하여 미래의 직무에 필요한 것과 관련된 과거의 경험을 강조합니다. 

 

정량화할 수 있는 결과: 생산성을 20% 향상하거나 팀이 16% 증가라는 회사의 이윤 목표를 달성하는 데 도움을 주는 등 조직 내에서 측정 가능한 결과를 달성한 과거의 경험을 보여 줍니다. 어떻게 결과를 얻었는지 보여주는 숫자와 양적 결과를 가지고 있다면, 이력에서 이것을 강조하면 고용주들은 직업 분야를 바꾸고 있더라도 그 직업에 어떻게 적합할 수 있는지를 볼 수 있습니다. 

 

경력기술서 예시를 들어드리면서 어떻게 쓰면 좋을지에 대해 작성해봤습니다. 경력기술서 예시가 적절했는지 의문이 들지만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고 추후에도 좋은 포스팅으로 인사드리겠습니다.